2003년에 네이버 블로그를 처음 시작했을 때,
처음 쓴 글의 제목이 "박찬호~ 박차기여 다시한번..."이었다.

이 글을 쓸 당시에도 박찬호는 부상에 시달리는 상태였으며, 먹튀라는 별명을 얻었던 것으로 기억이 된다.

현재 마이너리그에서 뛰고 있는 박찬호는 예전의 명성에 걸맞지 않는 대우를 받고 있지만,
그가 메이져리그로의 재진입을 위해 끝없이 노력하고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한국인인 나에게 있어 박찬호가 나오지 않는 메이져리그는 그저 거품 빠진 맥주맛 같을 뿐이다. 김병현이 호투를 해도... 서재응이 호투를 해도... 박찬호가 주었던 감동은 찾을 수가 없는 것 같다.

마이너리그에서 뛰고 있는 박찬호가 다시 메이져리그에서 다시 볼 수 있는 그날을 기약하며, 2003년에 올렸던 글을 다시 올려 본다...

--------------------------------------------------------------
2003/08/29 11:56

사용자 삽입 이미지박찬호,발차기

1999년 6월 박찬호는 메이져리그에 발차기를 날렸다.

박찬호는 대한민국이 대표할 만한 투수로 그 가치를 국내에서 따지기는 힘들다. 국내에서 박철순, 선동열 이외에는 그다지 투수들의 인기는 좋지 않았으며, 그저 몇 점 내주면 바뀌어야 하는 그런 사람인줄만 알고 있었다.

하지만, 박찬호의 경기를 보면서 그러한 시각은 단숨에 바뀌게 되었다.

프로야구를 보면서 투수들의 가치는 무조건 승수로만 계산 되어지는 알았지만, 컬리티, 삼진수, 투구수등 게임에서 나오는 모든 투수의 숫자들이 의미있게 다가왔다. 특히, 컬리티....그 동안 우리가 프로야구를 보면서 컬리티라는 단어를 들어 봤었는가?

대한국민들에게 자신감을 심어준 그가 이제 뜨거운 감자로 냉대를 받고 있다.
그가 승리를 했을 때, 우리는 얼마나 기뻐했는가? 그런 기쁨을 준 그에게 ...부상과 외로움과 싸우는 그에게 대한국민들은 '이제 끝났다', '한국에 와서 야구해라'등의 야유만을 보내고 있다.

박찬호의 승리는 대한민국 메이져리거 그 누구 보다도 가치가 크다.

2004년 나는 다시 한번 박찬호의 발차기를 메이저리그에서 볼 수 있길 바란다.

대한민국을 어느 곳과 비교를 많이 하는 가 보면 단연, OECD 다..

이놈의 OECD라는 것은 경제협력개발기구라는 거창한 단어로 되어 있는데,
도대체 어떤 경제협력을 개발하는지 우리 일반 평민들은 알길이 없다.

하지만, 경제권이든, 정치권이든 간에 이 대한민국이 좋은지 나쁜지 평가하는데 있어 들고 나오는 것이 OECD이다.

-------------------------------------------------------------------------------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흡연률 1위로 연간 4만2000명이 담배 때문에 사망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종교가 개인의 정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평균 25%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14개 국가(평균 40%) 중 10위를 차지했다.

-한국의 국제투명성 지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최하위 수준이다

-정부는 국내 휘발유값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 국 가운데 14위 수준으로 결코 비싼 것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OECD 국가 중 술 소비량 1위인 우리나라에서는...

-우리나라 인구 100만명당 주요 의료장비 보유대수는 OECD 국가의 평균치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난 이 OECD와 우리나라를 꼭 비교해야 하는지 묻고 싶다.
이럴 테면 이런 질문..

 "이게 왜 이렇게 바뀌죠?"
 "OECD 기준으로 맞추기 위해 섭니다."

 "이게 좋은 건가요?"
 "OECD에 가입되어 있는 대다수의 나라들이 하고 있습니다."

OECD라는 단어로 거의 모든 답을 해 줄수가 있는데, 도대체 이게 좋은 건지 나쁜건지 알 수가 없다.

정부와 정치권, 그리고 경제, 사회 모든 분야에서 이 놈의 OECD 기준을 맞추는 것이 가장 잘하는 일인듯 생각하는 것을 보면,

우리나라가 OECD에 가입한건, 국민들에게 딱히 좋은 답변을 해 줄 능력이 안되어 그런지 모르겠다.

요즘 집값 떨어뜨리기 운동이 한창인 정부는 한껏 오른 아파트 값이 주춤해지자
매우 만족하는 표정을 짓는 듯하다.

오세훈 시장은 여기서 더 떨어뜨리겠다고 하고,
여기저기서 집을 팔아야 할지 엄청난 고민들을 하고 있다.

과연 집값은 많이 떨어질까?

나의 대답은 아니다! 이다....

왜냐하면 집은 집일 뿐이고, 집을 포함한 기반시설들이 집값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특히, 수도권에 사는 사람들의 경우 서울이 직장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출퇴근이 원활한 곳에 집을 장만해야 한다.(전세든 자기 집이든...)

게다가 다른 인프라들....
대형마트, 극장, 교육 이러한 제반요소들이 충족되지 않으면 지역차가 생겨나고,
그로인한 집값의 상하가 결정되는 것이다.

신도시가 버블이라고??
나는 그 의견에 반대한다.

신도시는 절대로 버블이 아니다.
서울과의 원할한 교통과 우수한 교육환경, 공원, 문화등의 요소가 함께 자리잡고 있는 곳이기 때문이다.

오히려, 이러한 제반시설이 모자른 다른 곳이 문제이다.

단적인 예로 지하철역 근처와 아닌 곳이 대표적인 것이다.
지하철까지 이동하는데에 버스를 타야 한다면, 그것은 교통비+시간의 소비가 행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교육환경...
이제 교육은 스스로가 하는 것이 아닌, 만들어지는 것이다.
유치원, 어린이집의 아이들의 교육수준이 지역마다 틀리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어느 지역은 5~6살 정도가 되면 거의 모두 어느 정도 글씨를 쓸줄 알고,
다른 어느 지역은 5~6살이 되더라도 글씨를 쓸줄 아는 아이가 1~2명 정도 뿐인 경우도 있다.
  아내가 유치원과 어린이집으로 영어를 가르치러 다니기 때문에 그와 관련된 이야기를 많이 듣는다.
대표적인 예는 여기 유치원은 수업할때 모두 영어를 사용해야되고, 저기 유치원은 영어 50%만을 사용해야 한다고 한다.

이러한 제반요소들이 있는 한 신도시는 버블이라는 용어를 붙여서는 안될 것 같다.

+ Recent posts